계명대는 2004년도에 정부의
각종 국비지원사업에 선정되어
정부지원금을 포함한 기업체등으로
부터 664억 5천만원의 지원금을
받았다.
계명대가 2004년 한 해에 정부로부터 국비지원 사업을 수주한 현황을 보면 9개 사업 16개 과제에 총 664억 5천만원(총 사업비 기준)에 이른다.
계명대가 수주한 각종 정부지원 사업은 대부분 3년 이상의 중·장기 사업으로 교육인적자원부 주관 2개 사업, 과학기술부 주관 2개 사업, 산업자원부 주관 4개 사업, 건설교통부 주관 1개 사업 등이다.
계명대는 이러한 거액의 정부지원을 받게 되어 많은 관련학과들이 장학금 혜택, 고가기자재 설치, 각종 산학협력 사업 참여로 인한 실무능력 향상 및 학생 취업기회 확대, 교원들의
연구 활성화 등의 우수한 교육환경을 만들어 학교 및 학과의 경쟁력을 높여가고 있다.
이진우
계명대 총장은 “올해 계명대가 각종 국비지원 사업에 대거
선정되어 거액의 정부지원금을 받게 된 것은 학생과 교직원들이 일심으로 뭉쳐 준비한 결과
이다.”라고 말하고 “앞으로도 지속적인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밝혔다.
2004년 국비지원사업 수주현황
사업명
|
지원부처
|
사업성격
|
사업기간
|
총
사업비
|
NURI
사업
(지방대학
혁신
역량
강화
사업)
|
문화
콘텐츠
산업인력
양성사업
|
교육인적자원부
|
게임, 모바일콘텐츠, 디자인분야의 첨단 문화콘텐츠산업 전문인력양성 사업, 기업지원 인프라 구축 및 지역의 문화산업클러스터 조성
- 주관대학 : 계명대학교
(참여학과 : 시각디자인과, 공예디자인과, 애니메이션과, 뮤직프로덕션과,
인터넷통신공학전공, 한국문화정보학과)
- 협력대학 : 대구한의대학교, 계명문화대학
|
2004.7.17
-
2009. 6. 30
(5년)
|
276.5
억원
|
영유아
교사
양성사업
|
교육인적자원부
|
지역과 국가를 선도할 지역의 영유교육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지역사 회의 관련기관들과의 연계체제의 구축
- 주관대학 : 계명대학교 (참여학과 : 유아교육과)
- 협력대학 : 경북대학교
|
2004.7.17
-
2009. 6. 30
(5년)
|
40.89
억원
|
RIS
사업
(지역혁신
특성
화시범사업)
|
지역산업인프라를 이용한
텔레매틱스산업 육성산업
|
산업
자원부
|
무선데이터기술을 응용하여 자동차부품 및 의료기기 산업에 적용할 텔레매틱스(Telematics:Telecommunication + Information) 기술관련
연구개발, 네트워킹 및 전문인력의 양성
- 주관대학 : 계명대학교(관련학과 : 정보통신학부, 전자공학과)
- 참여기관 : 대구테크노파크,중소기업진흥공단 및 3개 기업
|
2004. 9. 1
-
2007. 8. 30
(3년)
|
48.12
억원
|
임베디드시스템
산업의 R&DB체제 구축
|
산업
자원부
|
디스플레이 혁신클러스터 조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지역특성에 맞는 R&DB 실행모델을 시도하여 국가?지역 R&D 사업의 획기적인 효율성 및 효과성 제고 솔루션 도출
- 주관기관 : 경북테크노파크(대구테크노파크)
- 참여대학 : 계명대학교를 비롯한 대학?산업체?연구소 등 14개기관
|
2004. 9. 1
-
2007. 8. 30
(3년)
|
3.6억원
|
포럼활동지원사업(달서FTI) 포럼
|
산업
자원부
|
달서구에 소재한 성서공업단지내 기계,자동차부품,전자정보기기를
아우르는 메카트로닉스산업에 중점을 두고 기술교류와 융합기술
개발을 목적으로 한 다양한 포럼활동을 전개
- 주관대학 : 계명대학교
- 참여기관 : 달서구청
|
2004. 9. 1
-
2005. 8. 30
(1년)
|
0.3억원
|
Fusion Techno Belt 연구개발
사업
(자자체 주도
연구개발
지원사업)
|
과학
기술부
|
대구광역시와 계명대학교가 주축이 되어 지역전통산업(섬유,자동차
부품,기계,전자)의 기술경쟁력을 향상시키고, 나아가 성장축의
다양화를 위한 대안 신산업을 효과적으로 유치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됨. FTB연구개발사업의 단기적인 목표는 지역전통산업에
IT,NT,MT,BT,ET등 신기술을 접목하여 기존 보유기술과 융합에 의한 신제품개발 기회를 포착하여 다수의 성공사례를 만들고자 하는데 있으며, 또한 대구,경북권내 달성산업단지, 기타 고령. 성주,
왜관산업단지 등에 대한 테크노벨트 구축
|
2004. 6
-
2009. 5
(5년)
|
45억원
|
첨단 진단/예측
의료기술
클러스터
(지역연구개발
클러스터사업)
|
과학
기술부
|
첨단 진단/예측의료기술(Medical Informatics)을 중심으로 메카트로닉스와 전자정보산업을 연계해 세계적 진단/예측 의료기술을 확보하고 동북아 의과학 R&D의 중심축 형성 및 지역과 국가의 관련산업의 진흥 및 고용창출에 기여
|
2004. 7
-
2013. 6
(9년)
|
65.25
억원
|
첨단 건설재료
특성/성능 실험
시설 신축
(분산공유형건설연구인프라구축
사업)
|
건설
교통부
|
건설기술의 선진국 수준진입을 위하여 교육과 연구에 공동 활용이 가능하도록 전국에 6개 대형실험시설을 구축하여 그리드(GRID) 시스템으로 네크워크화 하는 건설교통부 사업으로서 우리대학교에
대형실험시설 및 건자재시험연구원 건물 건축, 기자재 구입 및 장 비지원사업, 실험시설 운영 등
|
2004. 11
-
2009. 3
(5년)
|
102.37억원
|
대구 전략
산업 지역
특화
인력
양성
사업
|
섬유?패션
통상분야
|
산업
자원부
|
섬유?패션산업체 현장기술인력을 대상으로 통상, 마케팅 능력을 교육하여 기술과 통상마케팅에 정통한 현장 전문인력양성
|
2004. 6
-
2009. 5
(5년)
|
3.85
억원
|
나노분야
|
화학공학 관련 학생을 대상으로 나노분야 인력양성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지원대상 기업 교재 개발, 학점인정제 현장실습생 파견
등을 추진하는 산학연계 인력양성사업
|
6.2억원
|
모바일분야
|
일반대학원 석사과정에 모바일소프트웨어전공 설치와 운영을 통한
고급인력양성하는 혁신형 대학원 통합과정 개설사업
|
5.72
억원
|
전통생물
분야
|
생물?바이오산업 현장인력양성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10억원
|
대구 전략
산업 기술
지원
사업
|
메카트로닉스 분야
|
메카트로닉스 기술 개발과 교육 및 상품화 지원, 컨설팅을 지원하는
기술확산 지원사업
|
4.7억원
|
전통생물분야
|
생물소재 및 제품의 기능성?안전성 평가 지원 사업
|
42억원
|
나노기술
집적센터
구축사업
|
산업
자원부
|
국내 산업수요가 늘고, 성장 가능성이 높은 “나노 소재?재료”분야의
연구개발부터 산업화까지의 일괄지원시스템 구축과 지원으로 국내
나노기술의 산업화
- 주관기관 : 포항공과대학교
- 참여기관 : 우리대학교를 비롯한 46개 기관(9개 대학, 4개 지자체,
26개 산업체, 4개 연구소, 4개 테크노파크)
|
2004. 8
-
2009. 7
(5년)
|
10억원
|
영어교사
심화연수
사업
|
교육인적자원부
|
중등학교 영어교사(영어교과 지도경력
3년 이상) 심화 연수를 담당하는 사업
|
2005년 -
|
교사
연수비
국비
지원
|
합 계
|
664.5억원
|
홍보팀 Tel: (053) 580-6032~6034, Fax: (053)580-6035
E-mail comments to hongbo@kmu.ac.kr
|